반응형 전체 글368 고추 모종 심는시기 재배방법 남부지방 중부지방 고추모종 심는시기와 방법,노지 고추 재배방법 고추 재배방법 재배환경 고추는 대표적인 고온성 채소로 생육적온은 낮에는 25~28℃, 밤에는 18~22℃가 적당한데, 30℃ 이상이나 15℃ 이하에서는 화분불임에 의해 낙과되거나 석과가 되기 쉽다. 토양은 특별히 가리지는 않는 편이나 물 빠짐이 좋고, 유기물이 풍부하며 pH 6.0~6.5 정도의 약산성 토양이 좋다. -토양조건 : 수분을 잘 보유하고 물빠짐도 잘되는 양토 또는 식양토가 좋다. -토양산도 : pH6.0∼6.5, pH 5.0이하의 산성조건에서는 고추가 잘 자라지 못하고 역병이 발생하기 쉽다. 수분 -고추는 천근성 작물 : 주로 표토에 뿌리가 분포한다. -건조와 침수에 약함 : 관수 및 배수관리 철저-습해를 받지 않는 한 다소 습기.. 2023. 3. 30. 두릅 요리법 두릅 요리법/손질법,두릅 데치는 방법/보관방법 두릅 요리법 두릅은 특유의 향과 맛 덕분에 많은 사람이 좋아한다. 단백질과 비타민, 섬유질, 인, 칼슘, 철분 등이 풍부하며, 특히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조성이 좋아 영양적으로도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각종 성인병에도 효능이 높은 약재로 인정받고 있다. 웰빙 트렌드가 확산하며 두릅 역시 농가의 효도 작물로 자리 잡았다. 두릅에는 나무두릅과 땅두릅 두 가지가 있다. 우리가 마트에서 흔히 보는 두릅은 대개 땅두릅이다. 땅두릅은 땅에서 돋아나는 새순을 잘라낸 것으로, 밑부분이 하얗고 가시가 없으며 쌉쌀하고 향이 강하다. 두릅은 끓는 물에 살짝 데친 다음 식초와 고추장 등 양념을 더해 새콤달콤한 봄나물 무침으로 먹는 것이 일반적인 요리법이다. 숙회로 만들거.. 2023. 3. 25. 쑥국 맛있게 끓이는 법 향긋한 쑥 된장국 된장쑥국 맛있게 끓이는 법, 도다리 쑥국 맛있게 끓이는 법 쑥국 맛있게 끓이는 법 아무 데서나 쑥쑥 잘 자라난다 해서 이름 붙여진 쑥은 기운을 쑥쑥 올려주는 효자 나물이기도 하다. 쌉싸래한 맛과 독특한 향으로 예로부터 뛰어난 약효를 인정받아 의초 또는 천연초라고 불렸다. 쑥국을 끓일 때 된장을 풀어서 많이 끓인다. 하지만 끓이기 전에 꼭 거쳐야 하는 요리법이 바로 데침이다. 쑥국을 맛있게 끓이려면 쌉쌀한 아린 맛은 빼야 한다. 소금을 약간 넣어 살짝 데친 뒤에 찬물에 헹궈 물기를 꼭 짜고 국물에 넣어야 쑥 향이 더 은은하게 퍼진다. 또 쑥을 데쳐서 오래 두고 먹으려고 물기를 꼭 짜서 냉동 보관 많이 하는데 물기가 흥건한 상태에서 냉동 보관을 해야 쑥의 향과 식감이 그대로 남는다. 데친 쑥은 그냥 된장국에.. 2023. 3. 20. 쑥 캐는시기 효능 쑥 효능 부작용, 인진쑥 효능과 복용방법,쑥 캐는시기 쑥 캐는시기 효능 봄을 대표하는 나물 중 하나인 쑥이 제철이다. 향긋한 쑥은 봄철 입맛을 돋울 뿐만 아니라 환절기 건강에도 이로운 점이 많다. 겨우내 추위에 지친 몸과 마음을 달래주는 따뜻한 식재료다. 쑥은 맛뿐만 아니라 뜻밖의 건강효과가 있다. 국내에 대략 40여 종이 자라고 있는데, 가장 약효가 좋은 쑥은 백령도와 강화도, 남양만 등 서해안에서 나는 ‘싸주아리쑥’이다. 다른 쑥보다 대가 가늘고 잎 뒷면에 흰털이 보송보송하게 나 있고 향도 약한 것이 특징이다. 밥의 뜸을 들이기 전에 데친 쑥을 얹어 향긋한 쑥밥을 만들 수도 있다. 쑥을 말려 빻은 가루나 데친 쑥을 밀가루, 쌀가루와 섞어 쑥수제비, 쑥칼국수로도 이용할 수 있다. 쑥된장국, 도다리쑥국,.. 2023. 3. 20. 눈개승마 효능 먹는법(요리법) 눈개승마 효능 부작용,눈개승마 먹는법/요리법 눈개승마 효능 부작용 봄에 처음으로 채취하는 나물로 알려진 눈개승마는 소고기를 씹는 듯한 식감과 두릅의 씁쓸한 맛, 인삼의 영양까지 들어있다 하여 삼나물이라 불린다. 눈개승마는 3월 말부터 5월 초까지 새순이 올라오는 시기에만 채취할 수 있는 식물로 전국의 고산지대에서 주로 자란다. 장미과에 속하는 다년생초. 북온대지역이 원산지이며 그중에서도 특히 나무가 많은 산악 지대에서 많이 자란다. 키는 1.2~1.8m까지 자라며, 잎은 깃털처럼 생긴 겹잎으로 길이가 50 ㎝에 이른다. 꽃은 흰색으로 작고 꽃자루가 없으며 8~10송이씩 잎이 달리지 않은 가지에 모여 피는데 길이가 10~25㎝ 정도이다. 종종 화단의 가장자리에 심기도 한다. 우리나라에는 눈개승마 외에도 한.. 2023. 3. 18. 감자 심는시기 재배방법 중부지방 남부지방 봄감자 심는시기.감자 재배방법 감자 재배방법 감자의 원산지는 남미 안데스산맥으로 서늘한 기후를 좋아한다. 감자의 번식방법-감자는 덩이줄기를 통한 영양번식을 하므로 씨를 심지 않고 감자를 쪼개서 심는다. 감자는 생장기간이 짧고 퇴비를 많이 필요로하는 작물이다. 발아가 시작하는 온도는 8도이고, 생육에 알맞는 온도는 19-21도이며, 감자가 형성되는 온도는 17도이다. 토양은 약산성이나 중성이 좋으며 토양은 배수가 잘되는 참모래흙(사질토)에서 가장 잘 자란다. 씨감자 준비 감자는 감자를 심어 재배한다. 다른 작물은 씨앗을 뿌리거나 모종을 심어 재배하는데 (고구마는 고구마순(줄기)을 심어 재배한다) 감자는 말그대로 감자를 심어 키운다. 종자가 되는 감자를 씨감자라 한다. 종묘상이나 인터넷에 .. 2023. 3. 18.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 62 다음 반응형